을 포함하는 여섯 글자 이상의 단어: 27개

한 글자:1개 두 글자:72개 세 글자:103개 네 글자:62개 다섯 글자:24개 🎄여섯 글자 이상: 27개 모든 글자:289개

  • 신푸스럽다 : (1)근심 걱정이 너무 많아서 사소한 일을 돌아볼 여유가 없다. ⇒규범 표기는 ‘신청부같다’이다. (2)사물이 너무 적거나 모자라서 마음에 차지 아니하다. ⇒규범 표기는 ‘신청부같다’이다.
  • 신라 진흥왕 척경비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에 있는, 신라 진흥왕의 순수비. 본디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 기슭에 있던 것을 1924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진흥왕 22년(561)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며, 비문은 해서체로 되어 있다. 국보 제33호.
  • 관룡사 대웅전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전. 앞면 세 칸, 옆면 세 칸으로 되어 있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안쪽은 우물천장으로 장식하였는데, 불단 위쪽은 한 단을 높인 점이 독특하다. 태종 1년(1401)에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탔고, 광해군 9년(1617)에 고쳐 이듬해에 완성하였다. 보물 제212호.
  • 우포늪 천연 보호 구역 : (1)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이방면, 대합면 일원에 위치한 늪. 전체 면적이 70만여 평에 달하는 국내 최대의 자연늪이다. 태고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으며 람사르 협약에 의해 보존 습지로 지정되었다. 천연기념물 제524호.
  • 해수욕장 : (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해수욕장.
  • 로총관부 : (1)고려 말기에, 중국 원나라가 세운 평안도 지역의 통치 기관. 충렬왕 원년(1275)에 동녕부(東寧府)를 승격시켜 고친 것으로, 충렬왕 16년(1290)에 없앴다.
  • 탑 금당 치성문기비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비. 인양사 및 이와 관련된 여러 절의 범종ㆍ탑ㆍ금당 따위의 조성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통일 신라 혜공왕 7년(771)부터 헌덕왕 2년(810)까지의 일을 적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창녕 인양사 조성비’이다.
  • 관룡사 석조 여래 좌상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불상. 통일 신라 시대의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 여래 좌상을 본떠 만든 것으로, 머리 가운데에 있는 반달 문양은 고려 시대의 불상 형식을 따랐다. 보물 제519호.
  • 덕수궁 함 : (1)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는 덕수궁의 건물 가운데 하나. 고종 황제가 거처하던 곳으로, 광무 1년(1897)에 지어졌다. 광무 8년(1904)에 화재가 나서 불에 타 그해 12월에 다시 지어졌다. 보물 제820호.
  • 술정리 동 삼층 석탑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에 있는, 8세기 통일 신라 시대의 탑. 2층의 기단(基壇) 위에 화강암으로 만든 석탑이다. 국보 제34호.
  • 화왕산성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에 있는 삼국 시대의 산성. 조선 전기에 성의 기능을 잃었다가 임진왜란 때 의병의 근거지로 활용되었다. 이후 몇 번의 수리를 거쳐 지금까지 잘 보존되고 있다. 둘레는 2.6km이다. 사적 제64호.
  • 관룡사 용선대 석조 여래 좌상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 근처의 용선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 산꼭대기의 높은 바위 위에 놓여 있다. 대좌는 상대ㆍ중대ㆍ하대로 이루어져 있고, 광배는 없어진 상태이다. 양감이 줄어든 신체 표현이나 도식적인 옷의 주름 선 따위로 보아 통일 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295호.
  • 애신각라민 : (1)중국 청나라의 제8대 황제인 도광제의 본명.
  • 수복강하다 : (1)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하다.
  • 영산 만년교 : (1)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남천에 놓여 있는 반달 모양의 돌다리. 조선 정조 4년(1780)에 축조되고 고종 29년(1892)년에 다시 고쳤다. 흔히 ‘원다리’라 이른다. 보물 제564호.
  • 술정리 서 삼층 석탑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서탑길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일반적인 형태이다. 위아래 각각 여덟 개의 돌을 이용하여 기단을 쌓은 것이 특징이다. 보물 제520호.
  • 슬픔이여 안 : (1)프랑스의 여류작가사강이 1954년에 발표한 소설. 사강의 처녀작이며 당시 그녀의 나이는 19살이었다. 자유분방한 삶을 즐기는 아버지와 딸의 삶에 이지적인 여성이 끼어들다가 죽음을 맞이하고 부녀는 그녀를 통하여 슬픔이라는 감정을 알게 된다는 내용이다.
  • 영산 석빙고 : (1)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교리에 있는 석실(石室)로 된 빙고. 보물 제1739호.
  • 영월 흥사지 징효 대사 탑비 : (1)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흥녕사지에 있는, 고려 시대 징효 대사의 탑비. 혜종 1년(944)에 세워진 것으로,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 비의 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형태이다. 비문은 최언위가 지었고 최윤(崔潤)이 썼으며 최오규(崔奧規)가 새겼다. 보물 제612호.
  • 진흥왕 척경비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에 있는, 신라 진흥왕의 순수비. 본디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 기슭에 있던 것을 1924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진흥왕 22년(561)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며, 비문은 해서체로 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이다.
  • 젊은 놈의 망은 몽둥이로 다스리랬다 : (1)‘젊은이 망령은 몽둥이로 고친다’의 북한 속담.
  • 시푸스럽다 : (1)보기에 안색이나 표정 따위가 마음에 들지 아니한 데가 있다.
  • 미로 공원 : (2)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공원. 나무를 식재하여 미로를 조성하였다.
  • 영월 흥사 징효 대사 탑비 : (1)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흥녕사지에 있는, 고려 시대 징효 대사의 탑비. 혜종 1년(944)에 세워진 것으로,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 비의 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형태이다. 비문은 최언위가 지었고 최윤(崔潤)이 썼으며 최오규(崔奧規)가 새겼다. 보물 정식 명칭은 ‘영월 흥녕사지 징효 대사 탑비’이다.
  • 진흥왕비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에 있는, 신라 진흥왕의 순수비. 본디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 기슭에 있던 것을 1924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진흥왕 22년(561)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며, 비문은 해서체로 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이다.
  • 목마산성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산성. 언제 축조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으며, 신라 진흥왕 때 이미 있었다고 보기도 한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곽재우가 방어를 위해 산성 터를 수축하였으며, 둘레는 1.9km이다. 사적 제65호.
  • 인양사 조성비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비. 인양사 및 이와 관련된 여러 절의 범종ㆍ탑ㆍ금당 따위의 조성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통일 신라 혜공왕 7년(771)부터 헌덕왕 2년(810)까지의 일을 적었다. 보물 제227호.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8개) : 나, 낙, 낛, 난, 낟, 날, 낡, 남, 납, 낫, 낭, 낮, 낯, 낱, 낳, 내, 낵, 낸, 낼, 냄, 냅, 냇, 냉, 냏, 냐, 냔, 냘, 냥, 냬, 냰, 너, 넉, 넋, 넌, 널, 넘, 넙, 넛, 넝, 넠, 넢, 네, 넥, 넨, 넬, 넴, 넵, 넷, 넹, 넼, 넽, 넾, 넿, 녀, 녁, 년, 녈, 념, 녑, 녕, 녘, 녜, 녬, 녯, 노, 녹, 논, 놀, 놁, 놈, 놉, 놋, 농, 놓, 뇌, 뇍, 뇜, 뇨, 뇰, 누, 눈, 눌, 눔, 눕, 눗, 눚, 눛, 눞, 눠, 눰, 눼, 뉘, 뉨, 뉫, 뉯, 뉴, 늄, 늇, 느, 늑 ...

실전 끝말 잇기

녕으로 시작하는 단어 (28개) : 녕, 녕감, 녕귀, 녕기슭, 녕깃물, 녕뎡히, 녕독하다, 녕독히, 녕맹스럽다, 녕맹하다, 녕맹히, 녕믈, 녕법, 녕변뽕, 녕사언정, 녕세, 녕신, 녕악스럽다, 녕악하다, 녕악히, 녕일, 녕찰, 녕텍없다, 녕특하다, 녕페탕, 녕풍, 녕혹, 녕혹하다 ...
녕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녕을 포함하는 여섯 글자 이상 단어는 27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